중소벤처기업부(이하 중기부)는 20일(화) 2025년 1분기 신규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결성 동향을 발표했다. 주요 동향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.
1. 신규 벤처투자 및 벤처펀드 결성은 각각 34%, 21% 증가
2025년 1분기 벤처투자는 2.6조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34.0% 늘었고, 벤처펀드 결성 규모는 3.1조원으로 20.6% 늘었다. 이는 벤처투자 호황기였던 2022년 다음으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이다. 2022년 말부터 위축되기 시작했던 벤처투자 시장이 2024년 소폭 반등(2023년 대비 신규 벤처투자 +9.5%)했고 이번 1분기에 성장세를 이어가는 모습이다.
2. 인공지능, 생명과학(바이오) 분야 창업기업(스타트업)이 대규모 투자 유치
피투자기업 업력별 투자실적은 창업 3년 이내 초기기업에 대한 투자가 전년동기 대비 81.7%로 크게 증가하였다. 업종별 투자실적은 영상·공연·음반이 크게 늘고 화학·소재 분야는 전년동기 대비 감소하였다. 이번 통계는 1분기 투자실적만을 반영한 것으로, 표본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개별 투자 건의 규모나 특성에 의해 변동폭이 크게 나타날 수 있어 정확한 업력·업종 추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관찰(모니터링)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벤처투자회사·조합의 투자를 살펴본 결과, 2025년 1분기 1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비상장 창업기업(스타트업) 26개사 중 10곳(38%)이 인공지능 또는 생명과학(바이오) 기술 기반의 창업기업(스타트업)으로 확인되었다.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콘텐츠 제작 등을 지원하는 ㈜뤼튼테크놀로지스는 2025년 1분기에만 전체 830억원 투자를 유치했고, 5월 초에 중기부 초격차 스타트업 1,000+에 선정되어 향후 가파른 성장이 기대된다.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㈜셀락바이오 또한 2025년 1분기 171억원의 투자를 유치하는 등 2024년 창업 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.
3. 민간의 벤처펀드 출자 31% 증가, 1분기 신규 결성액의 80% 이상을 차지하며 신규 벤처펀드 결성을 민간이 주도
금년 1분기 벤처펀드 결성액 중 민간출자 금액은 2.6조원으로, 전년동기 대비 31.1% 증가하였다. 민간 부문의 출자는 1분기 벤처펀드의 83.5%를 차지하며 신규 펀드결성 증가를 주도하였다. 특히 연기금 및 공제회, 금융기관이 전년동기 대비 각각 47.8%·41.4% 증가하였고, 일반법인도 37.7% 출자를 확대하였다. 이는 벤처투자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, 더 많은 민간자본이 스타트업 성장과 생태계에 기여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.
곽재경 투자관리감독과장은 “작년부터 벤처투자 규모가 증가세로 전환되고, 금년 1분기도 투자와 펀드의 증가가 지속되는 것은 긍정적”이라며,
“향후에도 심층기술(딥테크) 분야 창업기업(스타트업)에 활발한 투자가 지속되고, 민간의 벤처펀드 출자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제도개선 및 모태펀드 출자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”고 말했다.
< 저작권자 ⓒ 월간창업경제. 무단전재-재배포 금지 >
강민석 기자 ( 월간창업경제 기자 ) 다른글 보기 biz_idea@naver.com# 태그 통합검색